* 사진 모의고사 시험지 받는 학생들 - 연합뉴스
 
지난해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 고 2학년 학생 6명 중 1명이 수학 교육과정을 거의 이해 하지 못한 `기초학력 미달`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.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전수에서 표본 집단(3%) 평가로 전환된 2017년 이래 최고치다. 국어도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5년 연속 증가했 다.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저하된 학력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.
 
고교 수포자 늘고... 중학생은 62.9% "영어 보통 이상"
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17일 2023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. 학 업성취도평가는 전국 중3과 고2 학생의 3%를 표집해 국어·수학·영어 학력 수준을 진단하는 시 험이다. 올해는 중3·고2 전체 80만2712명 중 3.1%인 476개교 2만4706명의 학생이 참여했다. 평 가 결과는 1수준(기초학력 미달)~4수준(우수)으로 구분한다. 기초학력 미달은 교과 내용의 20% 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을 뜻한다.
 
 
 
이번 성취도 평가에서 고2 학생들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은 대체로 역대 최악 수준이었다. 수학 에서 1수준 학생 비율은 2017년 9.9%에서 지난해 16.6%로 상승했다. 코로나19 팬데믹이 발생 한 2020년 13.5%로 급증한 후 2021년 14.2%, 2022년 15.0%로 쭉 증가한 결과다. 국어 역시 같 은 학년 내 1수준 학생이 꾸준히 늘었다. 2018년 3.4% 이후 5년 연속 증가해 지난해엔 8.6%를 기록했다. 다만 영어는 1수준 비율이 8.7%로 전년 대비 소폭(0.6%포인트) 감소했다.
평가가 이뤄질 당시 고2 학생은 2020년 중학교 2학년이었다. 중학교 1학년 때 자유학기제나 자 유학년제로 지필고사를 보지 않았던 점을 고려하면 본격적인 수업에 들어갈 때 코로나19 직격 탄을 맞았다는 분석이 나온다.
중학생의 경우 조금씩 회복세를 보였지만 여전히 팬데믹 이전 수준에는 못 미쳤다. 중학교 2학 년 학생 중 국어 1수준 비율은 지난해 9.1%를 기록했다. 11.3%를 기록한 전년도에 비해서는 소 폭 감소했지만 2019년 4.1% 보다는 두 배 이상이다. 수학 1수준 학생 역시 지난해 13.0%를 기록 해 전년 대비 0.2%포인트 줄었지만 표본 조사가 시작된 2017년 7.1%보다는 여전히 높다.
 
 
 
 
다만 영어의 경우 1수준 비율이 8.8%에서 6.0%로 감소하고, 보통학력 이상인 3수준 비율은 55.9%에서 62.9%로 증가했다. 교육부는 "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"라며 "코로나 때 하지 못했던 말하기 학습 등이 활성화한 결과라는 게 현장 교사들 의견"이라고 설명했다.
학력 저하 우려... 특히 수학서 `도농 격차`
`도농 격차`도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다. 대체로 모든 과목에서 대도시 학생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 이 읍·면 거주 학생보다 낮았지만, 수학 과목에서 실력 차가 두드러졌다. 중학생은 대도시 (10.6%)보다 읍·면(17.9%)의 수학 기초 학력 미달자 비율이 7.3%포인트 높았다. 고등학생도 대 도시(14.3%)와 읍면(18.5%)에서 4.2%포인트 격차가 났다.
성별 성취수준은 중·고등학교 모두 여학생의 학업 성취도가 남학생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 났다. `보통` 이상 비율은 중·고등학교 국어·영어에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비율이 높았다. `미 달`은 중학교 모든 교과와 고등학교 국어, 영어에서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 의하게 높았다.
 
전반적으로 학력 회복 추세가 더디다는 지적에 교육부 관계자는 “2022년부터 조사 방식이 컴퓨 터 기반 평가(CBT)로 전환된 것을 고려했을 때 코로나19 이전과 단순 비교는 어렵다"고 설명했 다. 또 “학생의 맞춤 학습 지원을 위해 기초학력 책임교육과 디지털 기반 교육을 강화할 계획"이 라고 덧붙였다.
 
출처 중앙일보 https://n.news.naver.com/mnews/article/025/0003367253 
서지원·이가람 기자 seo.jiwon2@joongang.co.kr